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수행.공부96

절 수행을 하면 어떤 공덕이 생길까? 절 수행을 하면 어떤 공덕이 생길까?절은 번뇌망상 없애고, 불면증을 없애는데 큰 효과가 있고 절수행만으로도 깨달음 얻을 수 있습니다. 불·법·승 삼보께 귀의 하는 지극한 마음의 표시가 예배(절) 입니다. 신심을 돈독하게 하기 위해서, 물론 발원과 참회를 목적으로 지극 정성으로 삼배를 하고 108배, 1000배, 1080배, 3000배, 일만 배를 하게 됩니다. 이렇게 지극한 마음으로, 간절한 마음으로 절을 하다 보면, 자신도 모르게 선천진심(先天眞心)이 발현하여 지혜가 밝아지고 마음이 순일해져 부처님의 바른 법을 보게 됩니다.륵나마라 삼장법사는 “절에서 일곱 종류가 있다”라고 했습니다. 몸도 절을 하고, 마음도 절을 하는 신심례. 1. 사심 없는 마음으로 깨끗한 지혜의 마음으로 절을 하는 발지청정례.2... 2022. 3. 15.
수행 중 가져야 할 마음가짐 수행 중 가져야 할 마음가짐1. 바른 마음가짐입니다     너무 집중해서 보지말고,억제해서 보지말며     억지로 만들어서 보지말고, 억눌러서 보지마십시요.2. 일어나게 하지도 말고 일어나는 것을 없어지게도 하지 마십시요     일어나면 일어나는 대로 없어지면 없어지는 대로     잊지말고 알아차려야 합니다.3. 무언가를 일어나도록 하면 탐심    일어나는 것을 없어지도록 하면 진심     일어날 때마다, 없어질때마다 알지못하면 치심입니다. 4. 관찰하는 마음에 탐심이나 진심 근심 걱정이 없어야만     바르게 관찰하는 마음이 될 것입니다.5. 어떤 마음 가짐으로 수행하고 있는지     다시 한번 점검해 봐야 합니다. 6.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모두 봐야 할 대상일 뿐입니다.7. 좋은것만 원하.. 2022. 3. 15.
약사여래 기도 방법과 발원문 약사여래 기도 발원문삼귀의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반배)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반배)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반배) 삼배 정구업진언(淨口業眞言)수리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 (3회) 오방내외안위제신진언(五方內外安慰諸神眞言)나무 사만다 못다남 옴 도로도로 지미 사바하 (3회) 개경게(開經偈)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無上甚深微妙法 百千萬劫難遭遇)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我今聞見得受持 願解如來眞實意) 개법장진언(開法藏眞言)옴 아라남 아라다 (3회) 약사여래 대진언(3회)(약사여래께서 모든중생의 병고를 없애주시는 진언) 나모 바가바테 바이사지 아구루 바이듀리아 프라바라자야 타타가타야 아르하테 삼약삼붓다야 타댜타 옴 바이사지에 바이사지에 바이사지아 삼우드가테 스바하나모 바가바테 바이사지 .. 2022. 3. 15.
신묘장구대다라니(해석) 신묘장구대다라니(해석)개경계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해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신묘장구 대다라니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가리다바 이맘 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 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 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 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 도로 미연제 마하 미연제다라 다라 다린나레 새바라 자라 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 2022. 3. 15.
성철스님의 파격적인 법문, 중 보러 절에 오지마라! (성철스님 법문) “중 보러 절에 오지마라!" (성철스님 법문)대구 파계사 성전암에 있을때는 어떻게나 사람들이 많이 찾아오는지, 산으로 피해 달아나기도 했지요. 그러면 산에까지 따라옵니다. 한 말씀만이라도 해달라 이거라. 그래 내가 그랬지요. “그럼 내 말 잘 들어! 중한테 속지 말어! 나는 승려인데 스님네한테 속지 말란 말이야!” 이 한마디밖에 나는 할 말이 없어요. 그래도 자꾸 찾아오길래 할 수 없이 철망을 쳤지요. 성철 큰 스님은 당신이 위대한 큰 스님이니, 당신에게 절을 3천 번올리라고 말한 일이 결코 없었다. 누구든 부처님께 직접 3천 배의 절을 올리면서 스스로 부처되는 길을 찾고, 깨달으라는 깊은 뜻이었다. 1950년 5월, 그러니까 6.25전쟁이 일어나기 직전, 스님이 경북 문경에 있는 봉암사에서 수행하고 있.. 2022. 3. 15.
수행과 마장에 대하여! 수행과 마장에 대하여!우룡 큰스님 (울산학성선원 조실) 요즈음의 많은 불자들은 단순한 기복신앙에서 벗어나 실천불교·수행불교 속으로 몰입하고 있습니다. 가난하고 불쌍한 이들을 돕는 이타행(利他行)에서부터 참선하고 염불하고 기도하고 경전을 외우는 등의 마음 닦는 공부를 하면서 깨달음을 향해 한걸음 한걸음 나아가고 있습니다. 참으로 바람직하고 자랑스러운 현상이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 불자들의 공부, 즉 마음공부를 하는 이들은 공부를 할 때 나타나게 되는 장애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장애를 잘 알 때, 장애를 능히 극복할 수 있고 참으로 공부를 잘 성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마음공부, 깨달음의 공부를 할 때 나타나는 각종 장애를 불교에서는 ‘마장(魔障)’이라고 하는데, 이 마장에 대해.. 2020. 9.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