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41

능엄신주 원문과 독송하는 방법 능엄신주 진언에 대하여능엄신주는 불교 경전인 "능엄경"에 나오는 주문으로, "대불정여래밀인수능엄신주"라고도 불립니다. 능엄경은 불교에서 대승 불교의 심오한 교리를 담고 있는 중요한 경전으로, 특히 선정과 지혜를 강조하며, 수행자에게 해탈의 길을 제시하는 내용이 중심입니다. 능엄신주는 매우 강력한 효험을 지닌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주문을 외우면 삼재팔난을 막고, 수행자가 마장을 물리쳐 마음을 정화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 주문은 많은 불자들에게 보호와 구원의 힘을 지닌 것으로 믿어지며, 특히 불교 수행에서 악업을 씻어내고, 잡념과 번뇌를 잠재우는 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능엄신주는 산스크리트어로 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매우 길어 전부 암송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본.. 2024. 10. 10.
신묘장구대다라니 기도 방법과 공덕 신묘장구대다라니 기도 방법과 공덕"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중요한 진언 중 하나로, 특히 천수경에 등장하는 주법입니다. 이 진언은 매우 강력한 축원과 기원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많은 수행자들이 이를 통해 영적 힘과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고 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의 기원, 의미, 기도와 수행법, 그리고 공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신묘장구대다라니의 기원과 배경신묘장구대다라니는 천수경에 나오는 다라니(진언) 중 하나로, 천수보살과 관련이 깊습니다. 천수보살은 자비와 구원의 상징으로, 중생의 고통을 헤아리고 구원하기 위해 수천 개의 손과 눈을 가진 형태로 묘사됩니다. 이 수많은 손과 눈은 모든 존재의 고통을 듣고 도울 수 있는 능력을 상징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이러한 천수보.. 2024. 10. 10.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해석)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가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자못자 모다야 모다야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 2024. 10. 10.
풍수지리로 본 좋지 않은 집 풍수지리로 본 좋지 않은 집풍수지리에서 집의 배치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집의 구조와 위치가 인간의 운세, 건강, 재물, 대인 관계 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좋은 풍수적 환경은 인간에게 긍정적인 기운을 불러일으키지만, 반대로 좋지 않은 풍수적 환경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흉지’는 집의 구조나 배치가 자연의 흐름, 즉 기운의 순환과 맞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좋지 않은 집의 풍수적 특징은 여러 가지 요소로 구분되며,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입지와 방향의 문제1) 배산임수(背山臨水)의 결여풍수에서 배산임수(背山臨水)는 이상적인 입지 조건으로 여겨집니다. 이는 뒤에는 산이 있고, 앞에는 물이 흐르는 구조를 말합니다. 이 배치는 산이 바람을 막아주.. 2024. 10. 6.
풍수지리에 대해 알아봅니다. 풍수지리란 무엇일까?풍수지리(風水地理)는 자연과 인간의 조화를 추구하는 동양 철학의 한 분파로, 주로 지형과 지세의 영향을 받아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려는 목적으로 발전한 학문입니다. '풍수'(風水)는 '바람'과 '물'을 의미하고, 이는 자연 환경의 중요한 요소들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인간이 살아가는 데 있어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풍수지리학에서는 땅의 모양, 산의 흐름, 물의 위치 등 지형적 특징이 인간의 운세, 건강, 재물, 평온 등에 영향을 준다고 믿습니다. 풍수지리는 그 기원을 오래된 중국의 도교 사상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후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었습니다. 특히 한국과 일본에서는 각기 다른 형태로 발전하여 고유한 풍수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습니다. 1... 2024. 10. 6.
티벳 불교의 창시자 "파드마 삼바바"는 누구인가? 티벳 불교의 창시자 "파드마 삼바바"는 누구인가?파드마 삼바바(Padmasambhava)는 8세기에 인도에서 티베트로 와서 불법을 전파한 위대한 성자로, 티베트 불교의 창시자 중 한 명으로 추앙받고 있습니다. 그는 티베트 불교와 티베트 문화에서 매우 높은 위치를 차지하며, 불교를 티베트에 전파하고 뿌리내리게 한 핵심 인물로 간주됩니다. 서기 8세기, 파드마 삼바바는 인도의 우장나 국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탄생 과정은 비범한 점을 보여줍니다. 전설에 따르면 그는 어머니의 태를 거치지 않고 연꽃 속에서 화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연화생"이라는 이름을 얻었습니다. 태어난 후, 파드마 삼바바는 우장나 국왕에게 태자로 입양되어 양육되었고, 성장한 후 왕으로 즉위했습니다. 그러나 파드마 삼바바는 사바세계의 허망함.. 2024. 10. 6.
2가지 실제 사례로 본 인과응보의 법칙! 2가지 실제 사례로 본 인과응보의 법칙!불자든 불자가 아니든, 우리는 "인과응보"라는 말을 잘 알고 있습니다."인과응보"는 선과 악의 행위에 따라 그 결과가 반드시 나타난다는 불교에서 나온 용어입니다. 여러 불교 경전에서 부처님은 "우리가 하는 모든 행위는 털 끝만큼도 틀리지 않고 반드시 되돌아온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불교에서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은 인과법에 의한 결과이므로 우연은 없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지금 자신에게 발생하는 크고 작은 모든 일들은 전생과 금생에 지은 자신의 업(카르마)으로 인해 발생하는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아주 흥미로운 "인과응보"에 대한 놀라운 두 가지 실제 사례를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하나는 선업으로 인한 인과응보이고, 또 하나는 악업으로 인한.. 2024. 10. 4.
이 우주는 누가 만들었는가?(숭산스님 법문) 숭산스님1927년 8월 1일 ~ 2004년 11월 30일(세수 77세, 법랍 57세)1970년대부터 해외에서 활동하면서 세계 방방곡곡 한국의 선불교를 전파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해외에서는 달라이 라마, 마하 고사난다, 틱낫한 스님과 함께 세계 4대 생불 중 한 사람으로 불릴 정도로 인지도가 높았습니다. 이 우주는 누가 만들었는가?(숭산스님 법문) 선사는 법상에 올라앉아 한참 양구(良久)하다가 법상을 한번 치고 말했다. “저 태양이 언제부터 시방세계를 비추기 시작하였는가?” 또 한참 있다가 주장자를 한 번 치고 말하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언제부터 돌기 시작하였는가?” 또 한참 있다가 다시 주장자를 한 번 치고 말하였다. “우리 인간은 언제부터 이 세상에 태어났는가?나는 과학자는 아.. 2024. 10. 2.
한국 불교는 어떠한 역사를 거쳐서 왔을까? 한국 불교는 어떠한 역사를 거쳐서 왔을까?한국불교는 약 1,700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종교적 흐름과 외부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성격을 형성했습니다. 그 역사와 유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시대별로 나눠 살펴보겠습니다.1. 한국불교의 도입과 삼국시대의 불교불교는 4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 사이에 한반도에 전래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의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초기 과정은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고구려고구려는 한반도에서 불교가 최초로 도입된 국가입니다. 372년 고구려 소수림왕(2년) 때, 진나라의 승려 순도와 아도가 불교를 전해 왔으며, 소수림왕은 불교를 국교로 삼았습니다. 이어서 375년에는 아도화상이 고.. 2024. 10.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