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441

부처님말씀 : 불교명언 부처님말씀 : 불교명언남의 허물을 보지 않는다, 혹 보더라도 마음에 담아두지 않는다. 자신의 허물을 보는 것이 지혜요, 남의 허물을 지나쳐 버리는 것이 덕(德)이다. 자기를 해롭게 하는 이들에게 앙심을 품지 않는다. 앙갚음을 하지도 말고 보복도 꾀하지 않는다. 욕설을 퍼붓더라도 끝까지 참는다. 어떠한 경우에도 뼈있는 말로써 남에게 괴로움을 안겨주지 않으며, 자신의 책임이나 부담을 남에게 떠넘기지 않는다. 남의 부덕한 행위를 기뻐하는 것이 부덕(不德)한 행위 그 자체보다 더 나쁘다.적(敵)의 고통과 불행을 즐거워해서는 안 된다. 남을 도우면서 자랑해서는 안 된다. 마땅히 해야 할 일로 여길 뿐 아니라 그러한 기회를 준 그들에게 고마워해야한다. 면전에서 비난 받더라도 성내지 않고 능히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 2024. 10. 2.
금강경 우리말 원문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경 우리말 원문 (금강반야바라밀경)제1장 법회가 열린 인연이와 같이 내가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사위국기수급고독원에서 큰 비구 1,250인과 함께 계시었다. 그때 세존께서는 진지 드실 때가 되었으므로 가사를 입으시고 바루를 가지시고 사위성에 들어가 차례로 밥을 비시었다. 그리고 본 곳으로 돌아오시어 공양을 마치신 뒤 가사와 바루를 거두시고 발을 씻으신 다음 자리를 펴고 앉으셨다. 제2장 선현이 법을 청하다그때 장로 수보리가 대중 가운데 계시다가 곧 자리에서 일어나 웃옷을 바른쪽 어깨에 벗어 메고 바른쪽 무릎을 땅에 꿇고 합장공경하면서 부처님께 사뢰었다. “희유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모든 보살들을 잘 보살펴 주시고 모든 보살들에게 잘 당부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선남자 선여인의 아뇩다.. 2024. 10. 2.
영가 천도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 영가 천도는 어떻게 하면 되나요?Q: 돌아가신 부모님이 자꾸 꿈에 보입니다. 주변 분들이 영가천도를 하는게 좋겠다고 권하시네요. 영가천도가 무엇이고 또 어떻게 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영가천도는 절에 가서 해야만 하나요?꼭 그렇지 않다면 제가 돌아가신 분을 천도하기 위해 어떤 기도를 할 수 있을까요?A : 법상스님천도(遷度)라는 것은 영가가 어리석은 마음, 집착하는 마음을 돌이켜 밝은 길로 가도록 안내하는 것입니다. 천도를 하는 방법에는 차려 놓은 음식을 공양함으로 영가를 달래주는 방법, 스님의 법력과 부처님 말씀으로 영가를 놓아주는 방법, 경전 유포 등을 통해 복 없는 영가에게 복을 짓도록 해주는 방법, 영가와 인연있는 당사자가 스스로 영가를 위해 기도하고 독경과 염불을 해주는 방법 등이 있는데.. 2024. 10. 2.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서로 사귄 사람에게는 사랑과 그리움이 생긴다. 사랑과 그리움에는 괴로움이 따르는 법. 연정에서 근심 걱정이 생기는 줄 알고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숲속에서 묶여 있지 않은 사슴이 먹이를 찾아 여기저기 다니듯이 지혜로운 이는 독립과 자유를 찾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욕망은 실로 그 빛깔이 곱고 감미로우며 우리를 즐겁게 한다. 그러나 한편 여러 가지 모양으로 우리 마음을 산산이 흐트려 놓는다. 욕망의 대상에서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서로 다투는 철학적 견해를 초월하고 깨달음에 이르는 길에 도달하여 도를 얻은 사람은 '나는 지혜를 얻었으니 이제는 남의 지도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알아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 탐내지 말고, 속이지 말며, 갈망하지 말고, 남의 덕.. 2024. 10. 2.
불교에서는 살인죄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불교에서는 살인죄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불교에서 악업(惡業)과 살인죄는 심각한 도덕적, 영적 죄악으로 간주됩니다. 불교의 핵심 교리 중 하나인 인과응보(因果應報)에 따르면, 모든 행위는 원인과 결과를 낳으며, 선한 행위는 좋은 결과를, 악한 행위는 나쁜 결과를 초래합니다. 이와 같은 업(業)의 법칙에 따르면, 살인과 같은 중대한 죄는 강한 악업을 형성하며, 그로 인한 업보(業報)는 현생과 내세에 걸쳐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1. 악업과 업보의 개념업(業, Karma)은 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인간의 모든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 행위가 미래에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지를 결정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불교에서는 세 가지 업이 있다고 설명합니다. 신업(身業)신체를 사용.. 2024. 10. 1.
법화경은 어떤 경전일까? 법화경은 어떤 경전일까?법화경(法華經)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경전 중 하나로, 불교 경전 중에서도 매우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산스크리트어로는 "사다르마 푼다리카 수트라" (Saddharmapundarika Sutra)라고 불리며, 그 뜻은 "바른 법의 흰 연꽃 경"입니다. 이 경전은 붓다의 가르침을 집대성한 대승불교의 핵심 경전으로, 대승불교 사상의 중요한 개념과 실천을 담고 있습니다.  1. 법화경의 기본 구조와 내용법화경은 총 28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내용은 불교 수행자가 깨달음에 이를 수 있는 보편적인 길을 제시하고, 모든 중생이 부처가 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경전의 각 품마다 다양한 비유와 이야기가 등장하며, 이들을 통해 불교 교리의 깊은 뜻을 전달합니다. 법화경은 전.. 2024. 10. 1.
광명진언 가피와 공덕 광명진언 가피와 공덕광명진언(光明眞言)은 불교에서 매우 중요한 진언(陳言) 중 하나로, 특히 밀교와 천태종 등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이 진언은 주로 어둠을 밝히고 무명(無明)과 번뇌를 없애며, 신성한 빛으로 가피(加被)와 보호를 받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광명진언의 독송이나 수행은 많은 신도들이 자신의 내면을 정화하고 깨달음의 길로 나아가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여겨집니다.1. 광명진언의 유래와 의미광명진언은 특히 불교의 밀교 전통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광명(光明)'이라는 단어에서 드러나듯이 빛과 관련된 상징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광명'은 단순한 물리적인 빛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무명과 어둠을 물리치는 지혜와 깨달음을 상징합니다. '진언'은 신비로운 힘을 지닌 말, 즉 주술적인.. 2024. 10. 1.
금강경 독송 : 금강경의 가르침 금강경 독송 : 금강경의 가르침1. 도시에서 차례로 걸식한다는 가르침금강경에서 말하기를, 부처님은 그 도시에서 차례로 걸식했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에게 모든 중생을 평등하고 자비롭게 대하라고 가르칩니다. 빈부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를 똑같이 대하여 그들이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을 얻도록 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2. 무량한 중생을 열반에 이르게 한다는 가르침금강경에서는 부처님께서 무수한 중생을 무여열반에 이르게 하신다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우리가 큰 가슴과 넓은 마음을 가져야 하며, 자신의 공덕에 집착하지 말라는 가르침입니다. 3. 형상에 머물지 않는 보시의 가르침금강경에서는 보살이 형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크다고 합니다. 이는 우리가 선행을 한 뒤 그 과보에 집착하지 말.. 2024. 9. 23.
화를 다스리고 없애는 방법! 화를 다스리고 없애는 방법!불교에서는 인간세상을 흔히 희노애락의 세계라고 말을 합니다. 사람은 감정을 가지고 있다 보니, 하루에도 그 감정이 시시각각 변화무쌍하게 변합니다. 그 감정변화는 우리에게 행복, 사랑, 기쁨, 즐거움이라는 긍정적인 감정의 변화도 주지만, 슬픔, 상처, 고통, 분노, 때로는 지옥과 같은 감정을 느끼게도 합니다. 저는 불교를 알기 전에도 화를 잘 내는 편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사람들을 접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화가 나서 가끔은 화를 내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불교를 접한 후에는 내가 화를 참지 못해서 화를 낸 경우는 한 번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물론 의도적으로 화를 낸 경우는 몇 번 있었습니다.  화가나는 이유는 탐. 진. 치(욕심, 성냄, 어리석음)에서 비롯됩.. 2024. 9.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