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수행.공부85

불교: 불법을 배우는 것은 내세를 위한 수행입니다. 불법을 배우는 것은 내세를 위한 수행입니다.불교를 배우고 수행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번 생에서 큰 방향의 운명을 바꾸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불법을 배우고 수행하는 것은 내세를 위한 수행입니다. 오늘 오랫만에 《지장경》을 읽고 느낀 점이 있습니다. 지장경에서 광목녀의 이야기를 읽다가, 그녀가 살아생전에 악업을 많이 지은 어머니를 위해 큰 서원을 세우고 선업을 쌓았음에도, 이번 생에서의 광목은 비천한 신분에서 벗어날 수 없었고 13세의 단명한 운명도 바꿀 수 없었습니다. 다만 그녀의 어머니는 광목의 공덕과 선업으로 인해 다음 생에 천세의 장수를 누리며 바라문으로 태어나고, 그 다음 생에는 불국토에 태어나게 되었습니다. 비유하자면, 수행은 마치 사람이 차를 타고 목적지로 향하는 것과 같습니다. 어떤 사람은 .. 2024. 10. 29.
불교: 기도나 수행이 잘 안될 때 불교: 기도나 수행이 잘 안될 때불교의 수행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수행을 할 때 우리는 종종 지루함을 느끼고, 지속하기 어려워하며, 어떤 사람들은 심지어 도중에 포기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수행을 지속할 수 있을까요? 불교 수행의 "지속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수행의 길에서 계속 앞으로 나아가고, 물러서지 않는 동력은 먼저, 듣고 생각함에서 나옵니다. 왜 수행을 해야 하는가? 수행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 것인가? 이러한 것들을 사전에 충분히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수행을 하면서 지루함을 느끼거나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해 도중에 그만두게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수행이나 명상에 들어가기 전에 충분히 듣고 깊이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 2024. 10. 28.
불교의 영적 수행의 의미와 목적 불교의 영적 수행의 의미와 목적수행은 불교에서 핵심적인 개념으로, 여러가지 관점에서 수행의 의미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수행의 목적수행의 목적은 진리를 명확히 보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체득하며, 궁극적으로 마음의 평화와 해탈에 도달하는 것입니다. 수행의 목표는 개인의 욕망과 집착을 초월하여, 올바른 마음챙김(정념), 올바른 앎(정지), 그리고 올바른 지혜(정혜)를 기르는 데 있습니다. 수행의 태도수행은 지속적이고 평온해야 하며, 어떠한 상태에 있거나 어떤 상황을 마주하더라도 수행을 포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는 기쁨이나 우울함, 쉬움이나 어려움, 더위나 추위에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수행은 감정의 변화에 휘둘리지 않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태도를 가져야 합니다. 수행의 방법수행은 .. 2024. 10. 28.
신묘장구대다라니 기도 공덕과 가피 신묘장구대다라니 기도 공덕과 가피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중요한 다라니(진언) 중 하나로, 주로 관세음보살과 연관된 기도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관세음보살보문품에서 비롯된 진언으로, 무수한 중생의 고통을 덜어주고 원을 이루게 한다는 믿음이 담겨 있습니다. 이 다라니를 정성껏 암송하고 기도하면 다양한 공덕과 가피를 얻을 수 있다고 전해집니다.1. 신묘장구대다라니의 의미와 구조"신묘장구대다라니"라는 이름 자체는 한자를 풀이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신묘(神妙): 매우 신비롭고 오묘함을 의미합니다.● 장구(章句): 하나의 문장과 구절을 뜻합니다.● 대다라니(大陀羅尼): ‘큰 진언’이라는 의미로, 다라니란 불가에서 특정한 뜻을 간직한 주문으로서, 신비한 힘이 있다고 여겨지는 구절입니다. .. 2024. 10. 26.
불교의 육바라밀 보살 수행의 덕목 불교의 육바라밀 보살 수행의 덕목불교에서 "육바라밀"은 보살 수행의 핵심 덕목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여섯 가지 실천 덕목을 의미합니다. "바라밀"이란 산스크리트어 "파라미타(Paramita)"를 음역한 말로, ‘저 언덕에 이르다’ 또는 ‘완성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육바라밀은 불교 수행자가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구체적인 덕목으로, 이를 완성하면 보살의 경지에 도달한다고 여겨집니다. 육바라밀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1. 보시(布施, Dana)보시는 물질적이거나 정신적인 도움을 남에게 베푸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행위는 세속적 욕심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첫걸음으로, ‘주는 것’을 통해 탐욕을 줄이고, 타인을 위한 배려와 자비를 실천하는 중요한.. 2024. 10. 24.
남을 흉보고 해코지 하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 남을 흉보고 해코지 하면 그 결과는 어떻게 될까?불교에서는 업(業, Karma)에 대한 개념을 통해 인간의 행위와 그에 따른 결과를 설명합니다. 업은 우리의 말, 행동, 생각 등 모든 행위를 포괄하며, 이러한 행위가 긍정적인 것이든 부정적인 것이든 그에 따른 결과가 반드시 존재한다고 가르칩니다. 남을 흉보고 해코지하는 사람들은 그 행위 자체로 부정적인 업을 쌓게 되며, 이는 결국 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한다고 여깁니다. 불교의 교리를 통해 이러한 행위의 결과와 업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불교에서의 업(業) 개념업은 우리가 행하는 모든 신체적, 언어적, 정신적 행위를 포함합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행위가 일으키는 결과가 필연적으로 따르며, 이는 '업보'라고 불립니다. 업보는 '업의 과보(결과.. 2024. 10. 12.
능엄신주 원문과 독송하는 방법 능엄신주 진언에 대하여능엄신주는 불교 경전인 "능엄경"에 나오는 주문으로, "대불정여래밀인수능엄신주"라고도 불립니다. 능엄경은 불교에서 대승 불교의 심오한 교리를 담고 있는 중요한 경전으로, 특히 선정과 지혜를 강조하며, 수행자에게 해탈의 길을 제시하는 내용이 중심입니다. 능엄신주는 매우 강력한 효험을 지닌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 주문을 외우면 삼재팔난을 막고, 수행자가 마장을 물리쳐 마음을 정화할 수 있다고 여겨집니다. 이 주문은 많은 불자들에게 보호와 구원의 힘을 지닌 것으로 믿어지며, 특히 불교 수행에서 악업을 씻어내고, 잡념과 번뇌를 잠재우는 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능엄신주는 산스크리트어로 되어 있으며, 그 길이는 매우 길어 전부 암송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합니다. 본.. 2024. 10. 10.
신묘장구대다라니 기도 방법과 공덕 신묘장구대다라니 기도 방법과 공덕"신묘장구대다라니"는 불교에서 중요한 진언 중 하나로, 특히 천수경에 등장하는 주법입니다. 이 진언은 매우 강력한 축원과 기원의 힘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많은 수행자들이 이를 통해 영적 힘과 마음의 평화를 얻으려고 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의 기원, 의미, 기도와 수행법, 그리고 공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신묘장구대다라니의 기원과 배경신묘장구대다라니는 천수경에 나오는 다라니(진언) 중 하나로, 천수보살과 관련이 깊습니다. 천수보살은 자비와 구원의 상징으로, 중생의 고통을 헤아리고 구원하기 위해 수천 개의 손과 눈을 가진 형태로 묘사됩니다. 이 수많은 손과 눈은 모든 존재의 고통을 듣고 도울 수 있는 능력을 상징합니다. 신묘장구대다라니는 이러한 천수보.. 2024. 10. 10.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 해석) 신묘장구대다라니 원문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가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자못자 모다야 모다야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 2024. 10. 10.
이 우주는 누가 만들었는가?(숭산스님 법문) 숭산스님1927년 8월 1일 ~ 2004년 11월 30일(세수 77세, 법랍 57세)1970년대부터 해외에서 활동하면서 세계 방방곡곡 한국의 선불교를 전파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해외에서는 달라이 라마, 마하 고사난다, 틱낫한 스님과 함께 세계 4대 생불 중 한 사람으로 불릴 정도로 인지도가 높았습니다. 이 우주는 누가 만들었는가?(숭산스님 법문) 선사는 법상에 올라앉아 한참 양구(良久)하다가 법상을 한번 치고 말했다. “저 태양이 언제부터 시방세계를 비추기 시작하였는가?” 또 한참 있다가 주장자를 한 번 치고 말하였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가 언제부터 돌기 시작하였는가?” 또 한참 있다가 다시 주장자를 한 번 치고 말하였다. “우리 인간은 언제부터 이 세상에 태어났는가?나는 과학자는 아.. 2024. 10. 2.
한국 불교는 어떠한 역사를 거쳐서 왔을까? 한국 불교는 어떠한 역사를 거쳐서 왔을까?한국불교는 약 1,700년 이상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종교적 흐름과 외부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성격을 형성했습니다. 그 역사와 유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시대별로 나눠 살펴보겠습니다.1. 한국불교의 도입과 삼국시대의 불교불교는 4세기 후반에서 6세기 초반 사이에 한반도에 전래되었으며, 이는 한반도의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초기 과정은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이루어졌습니다. 고구려고구려는 한반도에서 불교가 최초로 도입된 국가입니다. 372년 고구려 소수림왕(2년) 때, 진나라의 승려 순도와 아도가 불교를 전해 왔으며, 소수림왕은 불교를 국교로 삼았습니다. 이어서 375년에는 아도화상이 고.. 2024. 10. 2.
부처님말씀 : 불교명언 부처님말씀 : 불교명언남의 허물을 보지 않는다, 혹 보더라도 마음에 담아두지 않는다. 자신의 허물을 보는 것이 지혜요, 남의 허물을 지나쳐 버리는 것이 덕(德)이다. 자기를 해롭게 하는 이들에게 앙심을 품지 않는다. 앙갚음을 하지도 말고 보복도 꾀하지 않는다. 욕설을 퍼붓더라도 끝까지 참는다. 어떠한 경우에도 뼈있는 말로써 남에게 괴로움을 안겨주지 않으며, 자신의 책임이나 부담을 남에게 떠넘기지 않는다. 남의 부덕한 행위를 기뻐하는 것이 부덕(不德)한 행위 그 자체보다 더 나쁘다.적(敵)의 고통과 불행을 즐거워해서는 안 된다. 남을 도우면서 자랑해서는 안 된다. 마땅히 해야 할 일로 여길 뿐 아니라 그러한 기회를 준 그들에게 고마워해야한다. 면전에서 비난 받더라도 성내지 않고 능히 자신을 다스릴 줄 알아.. 2024. 10.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