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수행.공부

불교의 육바라밀 보살 수행의 덕목

by 게으른수행자 2024. 10. 24.
반응형

불교의 육바라밀 보살 수행의 덕목

불교에서 "육바라밀"은 보살 수행의 핵심 덕목으로, 깨달음에 이르는 여섯 가지 실천 덕목을 의미합니다. "바라밀"이란 산스크리트어 "파라미타(Paramita)"를 음역한 말로, ‘저 언덕에 이르다’ 또는 ‘완성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육바라밀은 불교 수행자가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구체적인 덕목으로, 이를 완성하면 보살의 경지에 도달한다고 여겨집니다. 육바라밀은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불교의 육바라밀

1. 보시(布施, Dana)

보시는 물질적이거나 정신적인 도움을 남에게 베푸는 행위를 말합니다. 이 행위는 세속적 욕심과 집착에서 벗어나기 위한 첫걸음으로, ‘주는 것’을 통해 탐욕을 줄이고, 타인을 위한 배려와 자비를 실천하는 중요한 덕목입니다. 보시는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재시(財施)

물질적 재화를 베푸는 것. 금전, 물건, 음식 등을 제공하는 것이 이에 해당합니다.

 

법시(法施)

불법(佛法)을 전파하고 가르침을 베푸는 것. 이는 정신적 자비를 실천하는 것으로, 지식과 가르침을 나누는 행위입니다.

 

무외시(無畏施)

두려움을 없애주는 것. 타인의 어려움을 이해하고, 그들의 불안과 공포를 덜어주는 행위입니다.

 

보시는 자신의 탐욕을 줄이는 동시에,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선한 행위를 실천함으로써 수행자가 마음의 평화와 깨달음을 얻는 길입니다.

 

2. 지계(持戒, Sila)

지계는 불교의 계율을 지키며, 올바른 행동과 도덕적 삶을 실천하는 덕목입니다. 이는 보살이 수행 중에 윤리적 기준을 확립하고, 세속적인 욕망과 악한 행동에서 벗어나기 위한 기본적인 훈련으로, 모든 악한 행위를 막고 선한 행동을 실천하게 돕습니다.

 

지계는 주로 불교의 오계(五戒)를 포함하며, 이는 살생을 하지 말 것, 도둑질하지 말 것, 거짓말하지 말 것, 음행을 하지 말 것, 술을 마시지 말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계율을 통해 불교 수행자는 스스로의 행동을 점검하고, 청정한 마음과 바른 생활을 유지하게 됩니다.

 

3. 인욕(忍辱, Ksanti)

인욕은 참고 견디는 것을 의미하며, 특히 분노와 고통, 비난, 역경을 인내하는 덕목을 뜻합니다. 인욕은 쉽게 화를 내지 않고, 타인의 비난과 욕설, 고통과 시련을 기꺼이 받아들이며,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불교에서 인욕은 큰 자비심과 마음의 평화를 상징합니다. 이를 통해 불교 수행자는 상대방의 잘못이나 상황에 휘둘리지 않고, 자비로운 마음으로 모든 상황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인욕은 자신의 고통뿐 아니라 타인의 고통도 이해하며, 화를 제어하고 모든 존재를 사랑으로 감싸는 실천의 덕목입니다.

 

4. 정진(精進, Virya)

정진은 끊임없이 노력하고 나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교 수행에서 정진은 게으름과 나태함을 극복하고, 깨달음의 길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는 것을 뜻합니다. 정진은 좋은 습관을 만들고, 악한 행동을 멀리하며, 선한 행동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필요합니다. 정진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설명되며, 이를 사정진(四正勤)이라 부릅니다:
- 아직 일어나지 않은 악을 막기.
- 이미 일어난 악을 제거하기.
- 아직 일어나지 않은 선을 일으키기.
- 이미 일어난 선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정진은 불교 수행의 원동력으로, 모든 덕목을 실천하고 마음을 닦는 데 필수적인 덕목입니다.

 

5. 선정(禪定, Dhyana)

선정은 깊은 명상 상태를 의미합니다. 마음을 한곳에 집중시키고, 외부의 잡념과 혼란을 버리며, 고요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선정은 깨달음의 깊은 단계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며, 마음을 통제하고, 올바른 인식을 유지하는 데 필요합니다. 불교에서 선정은 사선정(四禪定)으로 설명되며, 이는 마음의 집중을 통해 고요하고 평온한 상태로 나아가는 네 단계의 명상 상태를 뜻합니다. 선정을 통해 불교 수행자는 혼란스럽고 불안한 마음을 가라앉히고, 지혜를 얻기 위한 기초를 마련합니다.

 

6. 지혜(智慧, Prajna)

지혜는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보고 이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 지혜는 단순한 지식이나 정보가 아니라, 사물의 본질을 꿰뚫어보는 통찰력을 뜻합니다. 지혜를 통해 수행자는 모든 현상이 무상하고, 실체가 없음을 깨달으며, 번뇌와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불교의 지혜는 반야(般若)라고도 하며, 이를 통해 모든 고통과 무지를 초월하고, 열반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지혜는 앞서 설명한 다섯 가지 덕목의 실천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며, 보살의 완성된 수행을 의미합니다.

 

육바라밀은 서로 독립적인 덕목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시를 통해 탐욕을 줄이고 타인을 돕는 실천을 하며, 지계를 통해 올바른 행동과 도덕적 삶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실천은 인욕을 통해 시련을 참아내고, 타인을 이해하며 사랑하는 마음으로 나아갑니다. 그리고 정진을 통해 끊임없이 노력하며, 선정을 통해 마음을 고요히 다스리고, 집중력과 평온을 유지합니다. 결국, 이 모든 실천은 지혜를 얻기 위한 토대가 됩니다.

 

불교에서 육바라밀은 보살 수행의 핵심이자, 모든 불교 수행자가 추구해야 할 덕목으로 여겨집니다. 육바라밀을 바탕으로 불교 수행자는 번뇌를 극복하고,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걸을 수 있습니다.

 

오늘날 육바라밀은 불교 신자가 아닌 사람에게도 유의미한 삶의 지침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간 관계에서의 배려와 나눔, 도덕적 삶, 인내와 끈기, 자기 개발, 집중력과 평온, 그리고 통찰력을 포함하는 덕목이기 때문입니다. 육바라밀은 삶의 균형을 유지하고, 보다 나은 자신을 만들어가는 길을 제시합니다.

 

불교의 육바라밀은 자기 자신을 다스리고 타인에게 베푸는 실천적인 덕목으로, 모든 인간 관계와 삶의 상황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과 조화롭게 살며, 행복을 추구하는 길을 가르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