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전공부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

by 게으른수행자 2023. 2. 18.
반응형

불교경전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

불경은 뜻을 잘 알고 열심히 염불, 염송, 독송을 함으로서 공덕을 쌓아야 하는 것입니다.

 

반야심경

- 정식 명칭은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 600권의 대품반야경의 반야사상을 260자로 압축하여 표현한 경.
- 공(空)의 이치와 도리를 설한 가르침
즉, 세상 만물은 인연 따라 발생하는 연기의 관계에 놓여 있으므로 사물들 자체로는 홀로 서지도 못하고 존재할 수도 없다는 이치 그러므로 공의 도리를 깨달아야 함을 설합니다.

 

금강경

- 원래 명칭은 '금강반야바라밀경' 또는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
- 선종에서 독송하는 경.
- 금강석 같이 견실한 지혜의 배를 타고 생사미혹의 세계에서 깨달음의 세계로 도달하기 위한 가르침.
- 집착이 없는 가르침, 응무소주이생기심(應無所住而生其心)하라는 즉,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내라”는 가르침

 

법화경

- 정식 명칭은 '묘법연화경'
- 대승경전의 대표적인 경(대승과 소승불교의 갈등을 교리적으로 통일)
- 성문, 연각, 보살이 결국에는 부처님의 품에서는 일불승(一佛乘)으로 귀착 된다는 가르침
- 지의 천태대사의 중국 천태종을 창종의 바탕이 된 경

 

화엄경

- 정식 명칭은 대방광불화엄경 (대승경전의 왕이라 할만한 경)
- 40화엄(보현행원품), 60화엄, 80화엄 3가지가 있음
- 수행과 서원의 가르침으로 아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타행의 실천을 통해서 세상의 실상을 실현하는 것을 설함
- 의상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 210자의 법성게를 가지고 도표로 만듬.

 

열반경

- 소승열반경 : 부처님의 열반을 중심으로 그 전후의 경과를 서술한 경
- 대승열반경 : 부처님의 열반이 갖는 의미를 밝힌 경 (일명 열반경)
- 대승열반경의 3가지 사상

 

첫째-부처님은 법신 그 자체로서 영원히 존재한다고 설함

둘째-열반은 상락아정(常樂我淨)이라는 설함

셋째-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이라는 설함

즉, 집착을 경계하라는 중도의 가르침

 

유마경

- 원명은 유마힐소설경 또는 불가사의해탈경
- 유마힐거사(유마거사)가 부처님을 대신하여 설법한 경
- 보통의 생활 그대로 불교의 진수인 공의 도리를 체득하여 그것을 실천한 내용으로 상대와 차별을 넘어선 절대평등의 경지인 불이에 대하여 무언 설법을 함

 

천수경

- 원명은 천수천안관자재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대다라니경
- 84귀절로 된 문장
- 천수천안관세음보살께서 대자대비 심으로 모든 중생이 안락을 얻고 모든 중생이 구하는 바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부처님의 하락을 얻어 설한 경

 

아함경

- 장아함경, 중아함경, 잡아함경, 증일아함경으로 구분
- 모든 경전의 사상의 뿌리로 불리는 경
- 오온 십이처 십팔계 십이연기의 초기 교설
- 보시, 인욕, 바른 지혜, 바른 제도, 바른 도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의 가르침을 설함

 

사십이장경

아함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서 42가지 덕목을 발췌하여 엮은 경전

 

아미타경

- 정토 3부경중의 하나 (아미타경, 무량수경, 관무량수경)
-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상주하는 아미타불을 신앙하여 선근공덕을 닦고 한마음으로 아미타불을 부르면 극락세계에 왕생한다는 내용 중심

 

승만경

- 원명은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방광경
- 일상생활 속에서 불교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대승불교의 특색인 재가주의를 분명하게 드러내는 대표적인 경전(승만부인은 아유타국 왕비)

 

능엄경

- 원명은 대불청여래밀인수증요의재보살만행수능엄경/대불정수능엄경

- 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서술한 경전

 

능가경

- 분별심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 부처님을 만나는 길의 가르침
- 名, 相, 分別 등의 5법과 현상계의 자성을 3가지 성질로 구분하여 변계(邊計), 의타(依他), 원성(圓成)의 3성과 8식(八識)에 관하여 설함

 

원각경

- 원명은 대방광원각수의전요의경
- 문수,보현 등 12만명의 보살이 차례로 등장하여 부처님께 가르침을 청함

 

육조단경

- 원명은 육조법보단경/법보단경/단경

- 중국 선종의 6조이신 혜능선사께서 조계산에서 제자들에게 설법한 것을 기록한 자서전적인 경전

 

지장경

- 원명은 지장보살본원경
- 대승대진지장십륜경, 점찰선악업보경과 함께 지장 3부경의 하나
- 지장보살의 사상과 그 원력 및 중생의 업보를 점쳐 지장보살에게 참회함으로써 모든 업장을 소멸케 하는 실천법을 설함

 

법구경

- 진리의 말씀을 담은 짧은 구절의 가르침(일종의 불교시집)

 

불유교경

- 부처님께서 열반하시기 직전에 제자들에게 남긴 최후의 설법

 

본생담(경)

- 석가모니부처님의 전생에 관한 이야기

 

불소행찬경

- 석가모니부처님의 생애에 관한 장편 대서사시
- 불교시인이라 일컫는 마명스님이 서술 함

 

이 밖에 수행과 서원 및 실천에 관한 가르침으로 2,900여종의 경전이 있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