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야심경 쉽게 풀어보기 | 마음이 편안해지는 짧은 불경
반야심경이란?
반야심경(般若心經)은 불교 경전 중 가장 짧고도 핵심적인 경전입니다.
단 260자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안에는 공(空)의 철학과 지혜의 본질이 응축되어 있죠.
왜 반야심경을 읽을까요?
마음이 복잡할 때 읽으면 차분해짐
욕심, 번뇌를 내려놓는 데 도움
짧아서 매일 읽기 부담 없음
불교 명상의 입문서로 적합
반야심경 뜻을 이해하면 단순한 암송이 아닌 ‘깨달음의 길’로 다가갈 수 있어요.
반야심경 원문
관자재보살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사리자 색불이공 공불이색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
사리자 시제법공상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시고 공중무색 무수상행식
무안이비설신의 무색성향미촉법 무안계 내지 무의식계
무무명 역무무명진 내지 무노사 역무노사진
무고집멸도 무지 역무득 이무소득고
보리살타 의반야바라밀다 고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삼세제불의반야바라밀다 고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고지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고설반야바라밀다주 즉설주왈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반야심경, 쉽게 해석해볼까요?
원문 뜻풀이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사리자여! 색이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이 색과 다르지 않으며,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니, 수 상 행 식도 그러하니라.
사리자여! 모든 법은 공하여 나지도 멸하지도 않으며,
더럽지도 깨끗하지도 않으며, 늘지도 줄지도 않느니라.
그러므로 공 가운데는 색이 없고 수 상 행 식도 없으며,
안 이 비 설 신 의도 없고,
색 성 향 미 촉 법도 없으며,
눈의 경계도 의식의 경계까지도 없고,
무명도 무명이 다함까지도 없으며,
늙고 죽음도 늙고 죽음이 다함까지도 없고,
고 집 멸 도도 없으며, 지혜도 얻음도 없느니라.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
반야바라밀다는 가장 신비하고 밝은 주문이며 위없는 주문이며
무엇과도 견줄 수 없는 주문이니,
온갖 괴로움을 없애고 진실하여 허망하지 않음을 알지니라.
이제 반야바라밀다주를 말하리라.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3번)
즉, 집착할 것이 없다는 깨달음이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이라는 거죠.
현대인의 언어로 다시 풀면?
"우리 마음속 괴로움은
그 자체가 실체가 없음을 알면
더 이상 고통이 나를 휘두르지 못한다"는 메시지입니다.
반야심경을 읽는 팁
하루 3분, 아침에 천천히 읽기
명상 전후에 마음을 가라앉히는 용도로 활용
노트에 써보며 의미 되새기기
마무리: 반야심경이 전하는 삶의 지혜
‘모든 것은 지나간다’는 말처럼
공(空)의 철학은 집착과 번뇌에서 자유로워지는 지혜를 줍니다.
짧은 불경 하나로 마음이 한결 가벼워질 수 있습니다.
'경전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을 치유하는 불경 추천 TOP 5 (0) | 2025.04.11 |
---|---|
자비도량참법의 기도와 공덕 (0) | 2025.02.26 |
반야심경: 260자에 숨겨진 우주의 지혜, 인생의 새로운 경지를 열다 (3) | 2024.11.01 |
꼭 읽어야 할 불교 경전 "지장경" (1) | 2024.10.30 |
불교의 대표적인 경전 (0) | 2023.02.18 |